종교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로아스터교 교리 특징과 종말론, 아베스타 조로아스터교 교리의 특징과 종말론을 살펴본다는 것은 그 종교의 뿌리를 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 아베스타 경전을 통해 조로아스터교의 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종교가 그러하듯 조로아스터교의 아베스타는 그들에게 신앙의 근본이 된다. 조로아스터교 교리 특징 첫 번째 조로아스터교 교리의 특징은 선과 악의 대결이라는 이원론이다. 그런데 선과 악의 갈등은 물질세계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마음에서 일어난다는 것이 이른바 조로아스터교가 말하는 ‘윤리적 이원론’이다. 나중에 이것이 와전되어 이 세상을 대결의 장으로 인식하는 이원론이 나오는데, 바로 ‘우주적 이원론’이다. 조로아스터교의 가르침은 본질상 윤리적 성격을 띤다. 두 번째 조로아스터교 교리의 특징은 자유의지를 가진 인.. 더보기 조로아스터교의 기본 교리와 창조 설화 조로아스터교의 기본 교리는 선악의 투쟁을 다루는 이원론에 있다. 무엇보다 조로아스터교의 창조 설화를 보게 되면, 구약 성경의 창조 설화와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종교의 신화적 요소와 그 출발점은 어떤 면에서 하나의 뿌리를 가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조로아스터교의 기본 교리 조로아스터는 세상에는 오직 한 분의 참된 신이 있는데, 그분이 바로 아후라 마즈다라고 선포했다. 그는 당시 사람들이 믿는 다른 신은 모두 거짓 신이라며 아후라 마즈다를 제외한 다른 신에 대한 제의를 거부했다. 그 무렵 다신교 사회에서 이런 파격적인 선언은 실로 놀라운 일이자 세계종교사에서 아주 중요한 사건이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발견되는 유일신관의 근원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조로아스.. 더보기 조로아스터교의 탄생과 포교 활동 조로아스터교의 탄생 시기는 그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하나의 종교로서 조로아스터교의 탄생 시기보다 중요한 것은 조로아스터교의 포교 활동과 그 종교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중점을 두고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조로아스터교의 탄생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아후라 마즈다가 아닌 태양의 신 미트라 또는 데바 신을 숭배했다. 하지만 조로아스터 등장 이후 유일신 신앙이 정립됐다. 조로아스터교의 창건 시기에 대해서는 기원전 1800년에서 기원전 640년경까지 의견이 다양하다. 심지어 기원전 7000년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란의 조로아스터교 교단은 기원전 1768년에 창시되었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조로아스터교의 창시자 조로아스터는 기원전 650년경 출생한 사람으로 알려졌으나 유명한 비교종교학자 카렌 암스트롱은 그의 .. 더보기 브라만교 우파니샤드와 범아일여 사상 브라만교 우파니샤드는 진리 탐구에 대한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우파니샤드의 등장은 제사 중심의 브라만교를 철학종교로 발전시키는 범아일여(梵我一如) 사상의 근간을 이루었다. 브라만교 우파니샤드 기원전 1000년 이후 후기 베다시대로 갈수록 목축 비중보다 농업 비중이 커져갔다. 철제 농기구와 우경이 도입되면서 농업 생산량은 획기적으로 증가했다. 이는 잉여생산물에 따른 계급분화와 상업발달을 가져와 도시화를 가속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영토를 많이 확보하며 실력을 기른 크샤트리아와 상권을 장악한 바이샤 계급은 브라만의 권위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브라만이 주도하는 제례의식 만능주의는 강한 반발에 부딪혀 우파니샤드가 정립되는 등 새로운 경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파니샤드는 자아와 우주의 본질에 관한 논의.. 더보기 브라만교 제사와 경전, 인드라와 브라흐마나 브라만교의 제사 문화를 기반으로 아리아인들의 카스트 제도에 대한 사상은 확고해졌다. 그리고 브라만교의 경전 '베다'는 그들의 믿음을 나타내는 징표였다. 또한 번개와 전쟁의 신 '인드라'와 '브라흐마나' 제사중심주의 사상이 카스트 제도를 보다 구체화시켰다. 브라만교 제사 브라만교 아리아인들이 가진 제사 문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인간의 힘을 뛰어넘는 자연현상에 두려움을 가졌다. 천둥과 번개와 폭풍은 신들이 노한 것으로 이해하고 특히 무서워했다. 한편 그들은 불과 소마주酒의 위력을 찬양했다. 그들은 제례의식 때 항상 불을 쳐다보며 의례를 올렸다. 불은 신성한 브라만의 정신과 품성의 표징이었다. 그리고 산 동물을 신에게 희생공물로 바치는 베다 의례에서는 신들에게 동물희생제물과 수확물을 바쳤는데 그 가.. 더보기 아리안 브라만교와 인도 정복, 카스트 제도 아리안 계통의 브라만교는 인도 토착의 민간 신앙과 융합하고, 불교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300년경부터 종파의 형태를 정비하여 현대 인도인의 신앙 형태를 이루고 있다. 브라만교는 아리안 족의 인도 정복으로 정착된 카스트 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아리안 브라만교 이란고원 동부 박트리아 초원에 살던 아리안들은 기후가 점점 건조해지며 초원이 줄어들어 이웃 부족 간에 목초지 경쟁이 격화되자 살길을 찾아 딴살림을 낼 궁리를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들을 가로막고 있는 힌두쿠시 산맥은 최고 높이가 7700미터에 달하고 길이가 무려 1200킬로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장벽이었다. 보통은 이런 거대한 산맥이 가로막혀 있으면 방향을 바꾸어 반대방향으로 살길을 찾아 개척하는 법인데 아리안 기마민족은 달랐다. 그들은 포기하지.. 더보기 유대교 율법의 종류와 정신, 예정된 고난의 역사 유대교 율법의 종류는 성문율법과 구전율법이 있다. 그리고 율법의 정신은 정의와 평등에 있다. 유대교는 이스라엘 민족을 향한 예정된 고난의 역사를 통해 탄생되었다. 종교의 개념을 넘어 피조물인 인간을 향한 창조주 하느님의 계획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유대교 율법의 종류 유대교 경전 토라에는 유대민족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계율이 상세히 적혀 있다. 토라에 실린 계율의 수는 613개다. 이 가운데 '하지 마라'가 365개로 1년의 날수와 같고, '하라'가 248개로 인간의 뼈와 모든 장기의 수와 같다. 다시 말해 인간이 1년 내내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는가 하면, 인간의 지체를 가지고 열심히 해야 할 것이 있음을 뜻하는 것이라 한다. 토라는 특별하게 규제하는 것이 없으면 어떤 일이라도 할 수 있도록 허락했.. 더보기 유대인 노예 생활과 아부심벨 신전, 출애굽과 십계명 유대인은 고된 노예 생활로 아부심벨 신전을 완공했다. 하지만 그 또한 하느님의 예정이었다. 하느님께서는 마침내 출애굽의 기적을 이루시고 이스라엘 민족에게 십계명을 내렸다. 과연 하나님의 섭리와 예정은 어디까지일까? 십계명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유대인 노예 생활 유대인 역사 가운데 출애굽 사건은 유대 신앙의 가장 중요한 구심점이다. 출애굽 사건을 통해 이스라엘은 비로소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유대민족은 이집트 왕조가 바뀌면서 건설노예로 징발되어 수많은 건설현장에서 혹사당하고 있었다. 당시 람세스 2세는 힉소스의 수도 아리바스를 재건하고 야곱의 식구들이 번성한 비돔과 라암셋에 곡식창고를 건설했다. 또 몇몇 도시를 더 건설하여 가나안과 시리아 출정기지로 삼았다. 이러한 건설에 많은 유대인이..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