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철학

중국 문화의 도입 지역과 확장된 불교 세력

반응형

7세기 힌두교의 거부 이후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불교의 확산에 대해 알아보자. 수마트라 섬에 세워진 스리위자야 왕국은 인도를 우회해 중국으로 전파된 마하야나 불교를 믿었다. 그 왕국은 중국, 동남아시아, 그리고 인도를 연결하는 해상 무역의 환승 중심지가 되었다. 

 

불교의 불상

중국 문화의 도입 지역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4~5세기 이후 힌두교가 보급되었다. 두 나라는 캄보디아, 남베트남처럼 힌두교 세력이 우세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7세기, 수마트라섬에서 건국된 스리위자야 왕국이 불교를 신봉하면서 힌두교가 배척되었다. 스리위자야 왕국은 믈라카 해협을 지배하며 중국과 동남아시아, 인도를 잇는 해상교역의 중계 거점으로 발전했다. ‘스리위자야’란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로 스리는 ‘빛나다’, 비자야는 ‘승리’라는 뜻이다. 7세기 후반 중국 당 왕조의 승려 의정은 스리위자야 왕국을 방문해 불교가 융성한 모습을 보고 『남해기귀내법전』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 실리불서(스리위자야)의 성하에는 승려가 천여 명 있는데 학문에 힘쓰며 열심히 탁발을 수행하고 있다. 당의 승려들 중 인도에 가서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은 이곳에 한두 해 머물면서 그 법식을 배운 뒤 인도로 가는 것이 좋다.” 의정은 ‘스리위자야’의 표기에 ‘실리불서’라는 한자를 사용했다.

스리위자야 왕국의 불교는 대승불교였다. 즉 불교가 인도에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중국을 통해 우회하여 들어온 것이다. ‘북전불교’라고도 하는 대승불교의 보급 경로는 인도 서북부에서 중국 방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대승불교가 수마트라섬으로 전파된 것은 5~6세기로 추정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대승불교가 융성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말레이반도와 수마트라섬은 해상 루트를 통해 중국 문화가 베트남 다음으로 빠르게 유입된 지역이었다. 중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선진 세력(중국계였을 가능성 있음)은 현지의 힌두교 세력을 무너뜨리고 스리위자야 왕국을 형성했다.

확장된 불교 세력

스리위자야 왕국은 동쪽 자바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자바섬은 힌두교 우세 지역이었지만 스리위자야 왕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불교가 확산되었다. 8세기 스리위자야 왕국의 분파이자 깊은 혈연관계에 있었던 사일렌드라 왕조가 자바섬에서 대두했다. 수마트라섬의 스리위자야 왕국과 자바섬의 사일렌드라 왕조는 같은 불교국(모두 대승불교)으로서 연합했다. ‘사일렌드라’는 산스크리트어로 ‘산(사일라)’과 ‘왕, 지배자(인드라)’를 뜻한다. 자바섬을 통일하며 강대해진 사일렌드라 왕조는 8세기 후반 인도차이나반도 해역에 진출하여 진랍(지금의 캄보디아)과 베트남 남부의 참파 왕국을 침략했다. 이후 진랍의 크메르인(캄보디아인)에게 불교가 전파되었다. 캄보디아에 불교가 확산된 것은 사일렌드라 왕조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9세기 크메르인 자야바르만 2세는 사일렌드라 왕조 세력을 인도차이나반도에서 몰아내고 앙코르 왕조를 세울 때, 불교에 대항하여 힌두교를 강력히 내세웠다. 앙코르 왕조가 힌두교 세력이 된 것은 스리위자야 왕국과 사일렌드라 왕조의 불교 세력에 대항하려는 의지가 강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교 신앙은 앙코르 왕조의 지배 하에서도 깊이 뿌리내렸다. 12세기 말 즉위한 자야바르만 7세는 불교를 신봉하며 앙코르톰(위대한 도시라는 뜻)을 불교 양식으로 건조했다.

사일렌드라 왕조는 자바섬 지배를 확립하기 위해 섬 중부에 보로부두르 사원을 건설했다. 보로부두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석조 불교 사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사일렌드라 왕조가 이렇게 거대하고 화려한 사원을 건설한 이유는 자바섬 사람들에게 불교의 위엄을 알리고 힌두교 신앙에 대항해 자바의 지배를 확립하기 위함이었다. 스리위자야 왕국은 동족으로서 보로부두르 건설을 적극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당시 믈라카 해협을 경유하는 바닷길은 육상 교역로인 실크로드와 함께 활발하게 사용되었고, 이 지역을 지배한 불교 세력은 해상 교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쌓았다. 보로부드르 사원은 그것을 자금원으로 해서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로부두르는 산스크리트어의 ‘바라(Bara, 절)’와 인도네시아어의 ‘부두르(Budur, 언덕)’가 합성된 말로 ‘언덕 위의 절’을 의미한다. 보로부두르 사원은 화산재와 밀림에 파묻혀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1814년 영국인 래플스와 네덜란드인 기술자 코르넬리우스의 발견으로 일부 발굴되었다.

반응형